맨위로가기

대한민국 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환은 1953년 2월 15일부터 1962년까지 사용된 대한민국의 통화이다. 1 환은 100 원의 가치를 가졌으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여러 차례 평가 절하되었다. 1959년에는 10환, 50환, 100환 동전이 발행되었고, 1953년에는 1환, 5환, 10환, 100환, 1000환 지폐가 발행되었다. 지폐는 미국에서 인쇄된 것과 한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조된 것이 있으며, 지폐 도안은 이승만 대통령 초상에서 세종대왕 초상으로 변화하며 시대적 의미를 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이지 않게 된 근현대 통화 - 디나르
    디나르는 고대 로마 데나리우스에서 비롯된 화폐 명칭으로, 중세 이슬람 제국에서 금화와 은화로 발행되어 이슬람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통용되고 일부 걸프 국가에서 공동 통화 도입을 검토 중이다.
  • 쓰이지 않게 된 근현대 통화 - 쿠바 태환 페소
    쿠바 태환 페소는 1994년 쿠바 경제 위기 당시 미국 달러와 등가로 도입된 외화 환전권이었으나, 2020년 12월 폐지되어 쿠바 페소로 통합되면서 쿠바는 단일 통화 체제로 전환되었다.
  • 원 (통화) - 조선 엔
    조선 엔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사용된 통화로, 일본 엔과 동일한 가치를 가졌으며 조선은행권으로 발행되었고, 이는 일제의 경제 수탈과 문화 침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된다.
  • 원 (통화) - 대한민국 원
    대한민국 원(₩, KRW)은 대한민국의 공식 통화로, 100전으로 세분되며 여러 차례 통화 개혁을 거쳐 현재의 지폐와 동전이 유통되고, 1997년 이후 완전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교육 투자 등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대한민국 환
통화 정보
1 환 지폐 뒷면
1 환 지폐 뒷면
사용 국가대한민국
보조 단위 비율1/100
보조 단위 이름전 (錢)
보조 단위 관련 설명이론상으로만 존재, 실제 사용되지 않음
복수형 여부아니오
사용 지폐1, 5, 10, 50, 100, 500, 1000 환
사용 동전10, 50, 100 환
발행 기관한국은행
발행 기관 웹사이트www.bok.or.kr
인쇄처한국조폐공사
인쇄처 웹사이트http://english.komsco.com
조폐국필라델피아 민트
폐지 여부
한국어 이름 정보
명칭대한민국 환
한글
한자
로마자 표기hwan
매큔-라이샤워 표기hwan
일반 정보
현지어 통화 이름(한자)
폐지 알림
기타
한국은행 화폐 연대표http://www.bok.or.kr/broadcast.action?menuNaviId=533#

2. 역사

초대 대한민국 원의 가치가 1945년 15원/미국 달러에서 1953년 6000원/달러로 크게 떨어지면서, 1953년 2월 15일에 새로운 화폐인 환이 도입되었다. 이때 환율은 1환 = 100원이었다. 명목상으로는 1환이 100전으로 세분화되었지만, 실제로 발행된 가장 낮은 단위는 1환이었다. 그러나 환 역시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가치가 계속 하락했다.

1962년, 제2차 대한민국 원이 1원 = 10환의 비율로 다시 도입되면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2. 1. 환율 변동

대한민국 환은 초대 대한민국 원의 평가 절하로 인해 1953년에 도입되었으며, 1환은 100원의 가치를 가졌다. 환은 명목상 100 '전'으로 세분화되었지만, 실제로 발행된 가장 낮은 액면가는 1환이었다. 환은 도입 이후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겪었고, 여러 차례 평가 절하가 이루어졌다.[1]

대한민국 환의 고정 환율
도입일미국 달러 가치 (환)
1953년 2월 15일60
1953년 12월 15일180
1955년 8월 15일500
1960년 2월 23일650
1961년 1월 1일1000
1961년 2월 2일1250



1962년 6월 10일, 제2차 대한민국 원이 1원 = 10환의 비율로 다시 도입되면서 환은 유통이 중단되었고, 이후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었다.[1]

3. 주화

1959년에 10환, 50환, 100환 동전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국은 제조 기술이 부족하여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창에서 주조하였다. 1962년 6월 10일 화폐개혁으로 환 동전이 회수되었으나, 10환과 50환 동전은 각각 1원과 5원으로 취급되어 1975년 3월 22일까지 유통되었다.

3. 1. 주화 정보

아연 5%무궁화, 액면가, 은행 명칭 (한글)액면가 (숫자), "대한민국", 주조 연도1959년 (단기 4292년)1959년 10월 20일1975년 3월 22일----50 환22.86mm3.69 g구리 70%
아연 18%
니켈 12%거북선, 액면가, 은행 명칭 (한글)액면가 (숫자), "대한민국", 주조 연도1959년 (단기 4292년)1959년 10월 20일1975년 3월 22일----100 환26mm6.74 g구리 니켈
구리 75%
니켈 25%이승만, 액면가, 은행 명칭 (한글)액면가 (숫자), "대한민국", 주조 연도1959년 (단기 4292년)1959년 10월 30일1962년 6월 10일



10환과 50환 동전은 각각 1원과 5원 동전으로 취급되어 1975년 3월 22일까지 유통되었다. 100환 동전은 1962년 6월 10일에 회수되었다.

4. 지폐

1953년 2월 17일, 1환, 5환, 10환, 100환, 1000환 지폐가 발행되었다. 초기 지폐는 미국 정부 인쇄국에서 제조되었으며, 이후 한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조되었다.

한국 제조 지폐는 미국 제조 지폐 이후 한국 기술로 만들어졌다. 특히, 모자상 100환 지폐는 발행량이 적고 유통 정지까지 20여 일밖에 걸리지 않아 희소성이 매우 높아 수집가들 사이에서 고가에 거래된다.

초기 환 지폐에는 주로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화가 사용되었으나, 4.19 혁명 이후 세종대왕 초상화로 교체되었다. 이는 민주주의와 민족 자주성에 대한 열망, 그리고 독재 정치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상징한다. 1960년 8월 15일 발행된 1000환권에는 세종대왕 초상화와 함께 횃불이 도안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시대적 과제였던 경제 발전과 민족 중흥에 대한 염원을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1962년 5월 16일에 발행된 100환권은 어머니와 아이가 저축 통장을 들고 있는 모습을 도안으로 채택하여 진보적 가치를 반영했지만, 보수 세력의 반발로 빠르게 회수되었다.

4. 1. 미국 제조 지폐 (1953년)

최초의 환 지폐는 미국 정부 인쇄국에서 인쇄되었다. 이 지폐 앞면과 뒷면에 있는 모든 한자한글 문구는 현대식(서구식) 좌에서 우로가 아닌, 오른쪽에서 왼쪽(전통적인 방향)으로 쓰여 있다.[1]

이 지폐들은 몇 가지 명백한 결함을 가지고 있다. "환"이라는 용어는 한자(圜)로, "원"은 한글(원)과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새로운 지폐의 긴급한 필요성, 통화 이름의 변경, 그리고 새로운 지폐를 미국에서 제조하도록 위탁하기로 한 결정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1] 지폐 도감 편집자들은 이러한 지폐들을 구권 원 시스템의 일부로 잘못 분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앨버트 픽의 ''세계 지폐 표준 카탈로그''가 그러하다.

미국에서 인쇄된 환 지폐
이미지액면가크기주 색상설명발행일
앞면뒷면앞면뒷면발행철회
----1환111mm × 54mm분홍색은행 이름(한자), 액면가(한글 및 한자)한국은행의 상징1953년 2월 17일1962년 6월 10일
----5환빨간색
----10환156mm × 66mm자주색은행 이름 (한자), 액면가 (한글 및 한자), 거북선한국은행의 상징
----100환녹색
----1000환갈색


4. 2. 한국 제조 지폐

(달러 크기하고 비슷)이승만독립문1953년 12월 18일
1954년 2월 1일
액면1957년 3월 26일
모자상독립문1962년 5월 16일
(국내 최단명 화폐)
500 환156 × 73이승만액면1956년 3월 26일
1958년 8월 15일
세종대왕한국은행 건물1961년 4월 19일
1000 환166 × 73이승만한국은행 마크1957년 3월 26일
165 × 73세종대왕성화1960년 8월 15일



특히 1962년 5월 16일에 발행된 모자상 100환 지폐는 발행량이 적고 유통 기간이 20여 일로 매우 짧아 희소성이 높다. 이 때문에 화폐 수집상에서 고가에 거래되기도 한다.

4. 3. 지폐 도안의 변화와 의미

초기 환 지폐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화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4.19 혁명 이후에는 세종대왕 초상화로 교체되었다. 이는 민주주의와 민족 자주성에 대한 열망, 그리고 독재 정치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상징한다. 1960년 8월 15일에 발행된 1000환권에는 세종대왕 초상화와 함께 횃불이 도안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시대적 과제였던 경제 발전과 민족 중흥에 대한 염원을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1962년 5월 16일에 발행된 100환권은 어머니와 아이가 저축 통장을 들고 있는 모습을 도안으로 채택하여 진보적 가치를 반영했지만, 보수 세력의 반발로 빠르게 회수되었다.

대한민국 환 지폐 도안의 변화
발행일액면가앞면 도안뒷면 도안의미
1953년 3월 17일10 환숭례문거제도 인근의 해금강 
1953년 12월 15일10 환숭례문거제도 인근의 해금강 
1958년 8월 15일50 환독립문이순신 장군의 동상, 거북선 
1953년 12월 18일
1954년 2월 1일
1957년 3월 26일
100 환이승만독립문(1953년, 1954년)
액면가(1957년)
 
1962년 5월 16일100 환어머니와 아이가 저축 통장을 들고 있는 모습독립문진보적 가치 반영, 보수 세력 반발로 회수
1956년 3월 26일
1958년 8월 15일
500 환이승만액면가 
1961년 4월 19일500 환세종대왕한국은행 본관4.19 혁명 이후 민주주의, 민족 자주성 열망
1957년 3월 26일1000 환이승만한국은행의 상징 
1960년 8월 15일1000 환세종대왕횃불4.19 혁명 이후 민주주의, 민족 자주성 열망, 경제 발전과 민족 중흥 염원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ok.or.kr[...] 2006-12-04
[2] 웹인용 한국은행 화폐연대표 http://www.bok.or.kr[...] 201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